일본에서 분석한 ‘오징어 게임’의 대성공 요인

거부기난다 0 575

은 데스게임을 ‘무겁게’ 그렸다
한국판 가 넷플릭스 세계 1위의 대히트

 

 

"012101.jpg"

 

7일 연속 전 세계 1위

9월 17일부터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한국 드라마 (전9화)이 전 세계적으로 대히트를 기록하고 있다.

독자적으로 세계 각국의 순위를 포인트화 하여 정리하는 ‘Flix Patrol’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부문에서 9월 23일부터 29일까지 7일 연속으로 세계 1위(유지 중)를 기록했다. (Top Movies and TV Shows on Netflix in September, 2021 by day) 일본에서도 22일 이후 계속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비영어권 작품이 이렇게 전 세계적인 히트를 기록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라는 얼핏 보기에 우스꽝스러운 제목이지만, 그 내용은 소위 말하는 ‘데스게임’물이다. 주인공이 인위적인 게임에 휘말리고, 거기서 생사를 건 승부에 도전하는 장르의 작품이다.

이 은 영화로도 만들어진 후쿠모토 노부유키의 만화 시리즈와 비슷한 설정이다. 하지만 이 작품은 인간 드라마의 요소를 강화시킨 결과, 기존의 데스게임 장르에서는 쉽게 볼 수 없었던 독특한 ‘무게’로 인해, 전 세계에서 어필하고 있다.

 

죽음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주인공 성기훈(이정재)은 빚을 지고서 도박으로 일확천금을 노리는 별 볼일 없는 중년 남자다. 아내와는 이혼했고 자식과도 헤어져서 살고 있다. 그런 그가 어느 날, 지하철역에서 만난 한 남자로부터 수수께끼의 전화번호를 건네받는다. 그것은 거금을 손에 쥘 수 있는 게임의 초대장이었다.

약속 장소에서 자동차를 탄 뒤 수면 가스를 들여 마시고, 어느새 끌려간 곳은 복면을 쓴 인물이 관리하는 수수께끼의 공간이다. 모두들 녹색 운동복을 입은 상태였는데, 그 중 기훈은 456번이라는 번호를 부여받는다.

첫 번째로 진행되는 게임은 ‘달마가 굴렀다’(한국에선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일본인들에게도 친숙한, 술래가 뒤돌아 본 순간에 움직이면 아웃되는 놀이다.

하지만 단순한 애들 놀이와는 다르게, 아웃된 순간 총에 맞아 사살된다. 기훈은 그런 식으로 데스게임에 휘말리게 된다.

 

"02.jpeg"

가운데 주인공 성기훈(이정재), 왼쪽은 그의 소꿉친구 상우(박해수), 우측은 탈북자 새벽(정호연)

‘가벼운’ 게임을 ‘무겁게’ 그리다

소설, 영화, 만화, 드라마, 게임 등 데스게임은 지난 40년 동안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히트를 치면서, 표현 장르를 넘어 서로 영향을 주면서 전개되어 왔다.

하지만 한국에선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한국산 게임 가 세계적으로 히트치기도 했지만, 영상물로는 일본의 이 리메이크된 정도였고, 그 밖에 (한국산 데스게임물은) 별로 눈에 띄지 않았다. 은 그런 가운데 갑자기 탄생한 작품이다.

설정은 후쿠모토 노부유키의 만화 시리즈와 비슷하지만, 접근법은 후카사쿠 킨지 감독이 영화로 만든 (2000)에 가깝다. 영화는 원작의 저변에 깔려있던 가벼운 분위기를 약화시키면서, 인간 드라마의 비중을 강화했다. 즉, ‘가벼운’ 게임을 ‘무겁게’ 그렸다. 그것은 을 연출했던 감독이 라이트노벨 같은 작품을 다루는 것으로 인한 화학반응이기도 했다.

은 소박한 게임들이어서 와 같은 게임성의 묘미는 별로 없지만, 등장인물들을 탄탄하게 그림으로써, 인간 드라마로서의 깊이를 더했다. 서바이벌에서의 심리전은 등장인물들의 배경을 (시청자가) 인지하고 있기에, 무척 괴롭고 슬프고 아프게 느껴진다.

즉, 도 ‘가벼운’ 게임을 ‘무겁게’ 그린 것이다.

 

"03.jpeg"

데스게임 외의 묘사가 많은 것도 의 특징이다.

데스게임 작품의 계보

데스게임 작품은 지난 20년간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에 있던 장르다. 1997년 개봉한 캐나다 영화 와 1999년에 대히트한 타카미 코슌의 소설 을 계기로 전 세계에 퍼져나갔다. 

이런 유형의 작품은 1970년대 할리우드 영화, 그리고 일본의 (만화가) 테즈카 오사무의 (1980)에서도 찾을 수 있지만, 큰 영향을 끼친 것은 역시나 스티븐 킹의 소설이다. 그가 리처드 바크만이라는 필명으로 쓴 초기 작품 (1979)와 (1982)이 이후 다양한 변주 작품들을 이끌었다.

특히 타카미 코슌의 은 에서 영감을 받아 집필된 소설이다. 중학생들이 서로 죽고 죽이는 내용을 담은 이 작품은, 이듬해 영화로 만들어졌고 훗날 미국의 소설, 영화 시리즈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지금도 세계적으로 인기인 (2017)과 (2017)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

한편 일본에서는 만화의 세계에서 독자적인 데스게임을 발전시켜왔다. 후쿠모토 노부유키의 (1996)와 오쿠 히로야의 (2000), 카이타니 시노부의 (2005), 카네시로 무네유키 원작, 후지무라 아케지가 그린 (2011) 등, 약 5년 간격으로 히트 작품이 탄생하고 있다. 이 작품들은 나중에 모두 영상화되었고, 하나같이 대히트했다. 넷플릭스에서도 아소 하루의 만화 (2010)를 작년 말에 드라마화하여 히트시킨 기억이 생생하다.

 

데스게임을 다룬 주요 영상 작품들
(1975)
(1975)
(1987)
(1995)
(1997)
(1997)
(2000)
(2001)
(2005)
(2007)
(2009)
(2010)
(2011)
(2012)
(2012)
(2012)
(2013)
(2014)
(2020)
(2021)

 

탈북자가 등장하는 데스게임

하지만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한 이러한 데스게임 작품은 사회성과는 무관한 것들뿐이다. 주인공들 다수가 부조리하게 게임에 참가한다는 특징이 눈에 띈다. SF적 요소가 강한 작품이 많은 것도 그 때문이다.

이러한 히트작들 상당수는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적인 리얼리티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가벼움’을 지니고 있다. 설령 거기에 죽음이 그려져 있다고 해도, 대부분의 경우 심각성은 없어서, 그로 인한 ‘가벼움’이 좋은 의미에서든 나쁜 의미에서든 뒤틀린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 거기에 현실의 사회배경이 그려질 여지는 별로 없었다.

그에 비해 은 데스게임 공간에도 한국 사회를 제대로 반영시키고 있다.

그 대표적인 등장인물이 20대 여성 강새벽(배우 정호연)일 것이다. 그녀는 북한에서 온 탈북자다. 오징어 게임에 참여한 이유와 탈북 했을 때의 상황, 그리고 가족의 현재 모습 등이 단계적으로 밝혀진다. 

데스게임 설정에도 불구하고 에는 한국 사회가 강하게 투영돼 있다. 그 결과, 데스게임 그 자체가 무거운 현실로서 그려지고 있다.

 

"04.jpeg"

탈북자 강새벽. 연기한 배우 정호연은 SNS 팔로워 수가 수백만 단위로 증가했다고.

엔터테인먼트에서의 사회성

이러한 작품의 지향성은 아무래도 각본, 감독을 맡은 황동혁 때문일 것이다.

황동혁 감독은 원래부터 사회파였다. 데뷔작 (2007)는 입양된 한국계 미국인이 친부를 찾는 이야기, 히트작이 된 (2011)는 장애인 학교에서 벌어지는 학대를 고발하는 내용이었다. 이후 일본에서도 리메이크된 코미디 (2014)와 대작 사극 (2017)으로 흥행 감독으로서의 입지를 굳힌다.

에선 그러한 필모그래피를 지닌 황감독의 사회파로서의 요소와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균형 있게 짜여 있다.

2012년 가 일본에 개봉됐을 때 필자는 엔터테인먼트에서 사회 문제를 다루는 것에 대해 황감독에게 질문했다. 그러자 다음과 같은 대답을 들었다.

 

“(전략) 강한 사회성은 어드밴티지이기도 합니다.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세계정세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서도 국민들이 정치와 사회에 대단히 높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그런 문제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거죠. 당연히 영화를 보는 사람들도 민감해 하니까, 사회성을 내세우는 것이 상업성을 높이는 것으로도 이어집니다.”

이러한 과거 발언을 감안해 보면, 데스게임에 무리하게 사회성을 집어넣은 것이 아니라, 강한 사회의식이 반영되는 다른 한국영화나 드라마와 마찬가지로 데스게임 설정을 다루었다는 것이다.

일본을 중심으로 한 데스게임 작품에서 ‘가벼움’은 최고의 매력이라고도 할 수 있는 요소지만, 은 ‘가벼운’ 게임을 ‘무겁게’ 그림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히트하게 됐다.

그것은 ‘인위적’인 요소를 계속 비틀면서 축소 재생산 경향을 보이던 데스게임‘을, ’있을 법‘하게 만든 결과 ’새로워진 고전‘이 되었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05.jpeg"

원문 https://news.yahoo.co.jp/byline/soichiromatsutani/20210930-00260704번역 https://extmovie.com/movietalk/68905474

원덬이 본 오겜 관련 분석글 중 제일 읽어볼만한듯

The post 일본에서 분석한 ‘오징어 게임’의 대성공 요인 appeared first on 와붐 :: WaaBoom.

0 Comments
제목